[스크랩] 식민사학 계보
식민사학 계보
일제 식민사학자
요시다도고(吉田東伍) 1864-1918
이병도의 역사관 정립에 결정적 영향을 준 스승. 한일 강제병탄 이전부터 식민사학 형성에 절대적 구실을 함.
저서 : <日韓古史斷>, <大日本地名辭書> 등
시라토리 구라키치 (일본어: 白鳥 庫吉 しらとり くらきち, 1865년 3월 1일 ~ 1942년 3월 30일)
랑케의 제자 독일인 리스 L.Ries의 제자. 한국사에 대하여 식민주의 역사학을 수립한 대표 인물.
식민사관의 하나인 만선사관 滿鮮史觀을 주도.
저서 : <滿洲歷史地理> 등
쓰다 소우키치 津田左右吉Tsuda Soukichi 1873. 10. 3 일본 기후 현[岐阜縣]~1961. 12. 4 도쿄[東京].
이병도의 스승. 구라키치의 제자. 만철과 조선사편수회 출신, '삼국사기' 초기기록 불신론 등
식민사학 이론을 만듦.
저서 : <朝鮮歷史地理> 등
구로이타 가쓰미(일본어: ?板勝美, 메이지 7년(1874년) 9월 3일 ~ 쇼와 21년(1946년) 12월 21일)
도쿄제국대학 교수. 조선사편수회 고문. 우연히 입수한 '환단고기'를 보고 충격을 받아
소각해버렸다는 일화가 있음.
이마니시 류(今西龍; 금서룡, 1875년 ~ 1932년)
조선사편수회 위원, 서울대학교의 전신인 경성제국대학, 교토제국대학의 겸임교수.
'삼국유사' 고조선 조의 '昔有桓國 석유환국'을 '昔有桓因 석유환인'으로 개작하는 등 한국고대사의 왜곡, 말살을 주도했다.
주요저서
《檀君考》, 1929년
《滿洲語のはなし》, 1931년
《新羅史?究》, 近?書店, 1933년
《百?史?究》, 近?書店, 1934년
《朝鮮史の?》, 近?書店, 1935년
《朝鮮古史の?究》, 近?書店, 1937년
《高麗史硏究》, 近澤書店, 1944년
이나바 이와키치(일본어: ?葉 岩吉, 1876년 ~ 1940년)
만선사관의 대표자. 조선사편수회 편수관 역임. 조선의 타율성과 정체성을 강조하는 식민사관 정립에 핵심 영향.
식민사학 제 1세대
- 이병도, 신석호
이병도(李丙燾, 1896년 9월 20일(음력 8월 14일) ~ 1989년 8월 14일)
이분 나고 가신 날짜가 참 묘합니다.
1914년 와세다 대학에 입학, 요시다와 쓰다의 제자. 1925년 조선사편수회에 들어가 한국고대사 왜곡
작업에 참여. 광복 후 서울대 교수, 국사편찬위원 등을 거치면서 식민사학을 이 땅에 뿌리내림.
저서 : <한국사대관>, <한국사의 이해> 등
신석호(申奭鎬, 일본식 이름: 寺谷修三, 1904년 ~ 1981년 2월 13일)
1929년 조선사편수회의 촉탁으로 부일, 1945년 국사편찬위원회 전신인 국사관을 창설.
이병도, 김상기와 함께 임시중등국사 교원양성소를 개설하는 등 광복 후 식민사학을 전파.
저서 : <국사신강>, <한국사료 해설집> 등
식민사학 2세대
- 김철준, 이기백, 김원룡, 변태섭 등
식민사학 3세대
- 노태돈, 이기동, 조인성 등
식민사학 4세대
- 송호정 등
조선사편수회 고문
이완용 권중현 박영효
이완용
최남선(崔南善, 1890년 4월 26일 ~ 1957년 10월 10일)
조선사편수회의 야유회
조선사편수회 참여 대표인물
- 최남선, 이능화, 어윤적, 현재, 홍희 등
이능화(李能和, 1869년 ~ 1943년)